[문법] 쉽고 재밌는 스피킹 문법(44)
-
[스피킹 문법] 가정법 (If I were / If I had)
가정법 (If I were / If I had) 가정법은 현재나 과거에 일어나지 않은 상황을 가정하여 이야기를 할 때 쓰이는 문법입니다. If I were 또는 If I had와 같은 가정법 표현은 가능성 없는 상황을 상상하거나, 일어나지 않았던 일을 회상하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가정법의 의미와 활용법을 설명하고 예문을 통해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겠습니다. 가정법의 구조와 의미 가정법은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을 상상하거나 과거에 일어나지 않은 일을 가정할 때 사용됩니다. 현재와 반대되는 상황을 말할 때는 If + 주어 + 과거형 동사를 사용하며, 과거에 반대되는 상황을 말할 때는 If + 주어 + had + 과거분사를 사용합니다. 현재 ..
2024.11.12 -
[스피킹 문법] 조동사 (can, should, must)
실전 스피킹 문법 시리즈 : 조동사 (can, should, must)영어에서 조동사는 문장의 기본 동사에 다양한 의미를 더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can, should, must는 능력, 조언, 의무를 나타낼 때 자주 사용되는 조동사로, 대화나 시험 답변에서 유용하게 쓰입니다. 조동사 can, should, must의 의미와 용도 Can은 능력이나 가능성을 나타내며, should는 조언을 할 때 사용하고, must는 강한 의무나 필요를 표현합니다. 이 세 가지 조동사를 적절히 활용하면 일상 회화뿐만 아니라 시험에서도 논리적이고 명확하게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Can의 사용법 Can은 주어 + can + 동사원형 구조로 쓰이며, 능력이나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상대방에게 허락을 구할..
2024.11.12 -
[스피킹 문법] 비교급과 최상급 구조와 사용법
영어에서 사물이나 사람을 비교할 때 비교급과 최상급을 사용합니다. 비교급은 두 개의 대상 사이에서 하나가 더 크거나 작음을 나타내며, 최상급은 세 개 이상의 대상 중에서 가장 높은 정도를 나타냅니다. 비교급과 최상급의 구조와 의미 비교급은 두 대상 간의 차이를 설명할 때 사용되며, 형용사 또는 부사의 기본형에 -er을 붙이거나 more를 붙여 표현합니다. 반면, 최상급은 세 개 이상의 대상 중에서 가장 큰 차이를 설명할 때 사용되며, -est를 붙이거나 most를 붙여 표현합니다. 비교급의 사용법 비교급은 주로 형용사 또는 부사에 -er을 붙이거나, 단어가 긴 경우 more를 앞에 붙여 만듭니다. 두 대상을 비교할 때는 than을 사용하여 비교 대상과 차이를 표현합니다. 예문: "My car is fas..
2024.11.10 -
[스피킹 문법] 의문문 만들기 (Yes/No 질문과 WH-질문)
의문문 만들기 (Yes/No 질문과 WH-질문) 영어로 질문을 만드는 것은 영어 회화의 핵심입니다. 의문문은 상대방에게 정보를 묻거나 대화를 시작할 때 사용되며, 크게 Yes/No 질문과 WH-질문으로 나뉩니다. 이번 글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두 가지 의문문의 구조와 사용법을 예문과 함께 설명하겠습니다. 의문문의 종류와 의미 Yes/No 질문은 질문에 대해 단순히 ‘네’ 또는 ‘아니요’로 대답할 수 있는 질문입니다. 주로 조동사를 문장의 앞에 두어 만듭니다. 반면, WH-질문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왜’ 등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요청할 때 사용하며, Wh-로 시작하는 의문사가 문장의 맨 앞에 위치합니다. Yes/No 질문의 사용법 Yes/No 질문은 조동사를 주어 앞에 위..
2024.11.09 -
[스피킹 문법] 조건문 1형식 (If + 현재형, will + 동사원형)
조건문은 어떤 조건이 충족될 때 발생할 결과를 예측하거나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문법 구조입니다. 특히 조건문 1형식은 현실에서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여 영어 회화와 시험 준비에서 자주 쓰입니다. 조건문 1형식의 구조와 의미 조건문 1형식은 If + 현재형, 주어 + will + 동사원형의 형태로 구성됩니다. If 절에서는 현재형을 사용하고, 결과 절에서는 will과 동사원형을 사용하여 미래에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결과를 예측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조건문 1형식이 실제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사용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내일 비가 올 확률이 높은 경우, 조건문 1형식을 사용하여 “비가 오면 집에 있을 것”이라는 결과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조건문 1형식은 현실에..
2024.11.08 -
[스피킹 문법] 미래형 시제 (will vs be going to)
스피킹 실전 문법 시리즈: 미래형 (will vs be going to) 영어에서 미래에 대한 계획이나 결정을 표현하는 방식은 다양하지만, 특히 will과 be going to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두 가지 형태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두 가지 표현의 차이점을 초보자의 눈높이에 맞춰 쉽고 간결하게 설명하겠습니다. 미래형 표현의 차이점 Will은 주로 즉석에서 내린 결정이나 미래의 예측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반면에 be going to는 이미 계획된 일이나 의도적으로 하려는 일을 설명할 때 자주 쓰입니다. Will의 사용법 Will은 ‘주어 + will + 동사원형’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즉석에서 결정을 내리거나 미래의 가능성을 예측할 때 사용합니다. ✓ 예문: "I will call you ba..
2024.11.06